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한국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2차 악성종양 발생 위험과 그 의미

by Lubiks 2024. 8. 13.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MM)**은 골수에 존재하는 형질세포(혈액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암의 일종입니다. 이 질병은 골수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기와 뼈에 영향을 미치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건강 문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다발성 골수종의 진단과 치료 기술이 발전하면서 환자들의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존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2차 악성종양(Secondary Primary Malignancies, SPM)**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2차 악성종양이란 첫 번째 암을 치료한 후에 새로운 암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논문은 한국 국민건강보험공단(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의 자료를 활용해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2차 악성종양의 발생률과 위험을 일반 인구와 비교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생존율 증가와 새로운 도전 과제

최근 몇 년간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생존율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주로 새로운 치료법 덕분입니다. 여기에는 면역조절제(immune modulators), 즉 면역계를 조절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약물과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즉 환자의 자신의 조혈모세포(혈액을 만드는 세포)를 이식하는 치료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 동시에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장기 생존자들에게서 2차 악성종양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됩니다.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과정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다발성 골수종으로 처음 진단받은 한국의 성인 9,98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연구 대상자는 NHI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2차 악성종양 발생 여부와 유형을 추적하고 분석했습니다. 여기서 2차 악성종양은 다발성 골수종 진단 후 180일 이후에 발생한 새로운 악성종양으로 정의되었습니다. 이는 고형암(몸의 특정 장기에 발생하는 고체 형태의 암)과 혈액암(혈액이나 골수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세분화하여 분석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혈액암과 고형암 발생률의 차이

연구 결과, 다발성 골수종 환자 중 2.4%가 2차 악성종양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혈액암(hematologic malignancies) 발생률이 일반 인구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림프종(Lymphoid Malignancies)**과 **골수성 악성종양(Myeloid Malignancies)**이 주로 나타났습니다. 림프종은 림프계(면역계를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침범하는 암이며, 골수성 악성종양은 골수에서 발생하는 암을 의미합니다.

림프성 악성종양의 표준화 발생비(Standardized Incidence Ratio, SIR)는 3.56(95%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CI], 2.31-4.82)로 나타났고, 골수성 악성종양의 SIR은 3.78(95% CI, 1.16-6.39)로 나타나 일반 인구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이 이러한 유형의 혈액암에 대해 일반 인구보다 3배 이상 높은 위험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면, 고형암(신체 장기에 발생하는 고체 형태의 암) 발생률은 일반 인구보다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형암의 SIR은 0.76(95% CI, 0.65-0.86)으로, 이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이 고형암 발생 위험이 일반 인구보다 약 24%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존율에 대한 2차 악성종양의 영향

이 연구는 또한 2차 악성종양이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2차 악성종양을 겪지 않은 환자와 혈액암 또는 고형암을 겪은 환자 간의 생존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이 치료 과정에서 2차 악성종양의 발생 위험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한 생존율 감소는 크지 않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다발성 골수종의 치료 과정에서 2차 악성종양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은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이 연구는 한국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2차 악성종양, 특히 혈액암의 발생 위험이 일반 인구에 비해 상당히 높다는 중요한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특히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액암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의 개인적인 병력, 유전적 요소, 치료 방식 등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해 2차 악성종양의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의 암 환자 관리 및 예방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의료 제공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2차 악성종양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의 필요성을 환기시킵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